- Homebrew 설치
먼저 MySQL을 설치하기 전에 Homebrew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하자
which brew
먼저 iterm2나 터미널에 들어가 위와 같이 입력하면 Homebrew가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brew not found가 출력됩니다.
Homebrew는 macOS를 사용하는 프로그래머들에게는 손쉽게 다양한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게 도와주는 필수적인 프로그램이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Homebrew가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위와 같이 입력하면 애플 실리콘을 지원하는 Homebrew설치가 진행된다.
중간에 macOS 계정 패스워드나 엔터를 입력해야 하니 메시지를 잘 확인해야 된다.
==> Next steps:
- Add Homebrew to your PATH in /Users/<USER_ID>/.zprofile:
echo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Users/<USER_ID>/.zprofile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Run `brew help` to get started
- Further documentation:
https://docs.brew.sh
설치가 완료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echo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Users/<USER_ID>/.zprofile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위의 2줄을 입력하면 끝이다. /Users/<USER_ID>/. zprofile은 본인 것을 적으면 된다.
which brew
홈브류 설치가 끝났다면 위와 같이 입력하면 경로가 이렇게 잡혀있을 것이다. /opt/homebrew/bin/brew 이렇게 뜬다면 애플 실리콘을 지원하는 홈브류 설치가 끝났다. 버전을 확인하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Homebrew 3.2.5 이런 식으로 나온다면 설치가 잘 된 것이다.
brew --version
- Homebrew에서 MySQL설치
brew install mysql
위와 같이 입력하면 간단하게 MySQL을 설치할 수 있다.
mysql --version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위와 같이 입력해서 버전을 확인해보자. mysql Ver 8.0.26 for macos11.4 on arm64 (Homebrew) 이런 식으로 나와있다면 설치가 잘 된 것이다. 버전 같은 경우는 업데이트에 따라 다르게 나올 수가 있다.
-MySQL Server Start
mysql.server start
위와 같이 입력하면 서버가 실행된다.
-MySQL Server Stop
mysql.server stop
위와 같이 입력하면 서버 실행이 멈추게 된다.
- MySQL Workbench 설치
M1환경에서 MySQL Workbench는 여기를 들어가면 설치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다운로드를 하면 된다. (저는 8.0.25 버전으로 했습니다. )

설치 후 실행하면 위의 Connections에서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여기서 MySQL을 설치할 때 설정했던 root비밀번호 password에 Stroe in Keychain을 누르고 넣어준 후, Test Connection을 누르면 local instance 3306이 나오면 끝이다.


위와 같이 터미널에 들어가서 mysql.server start를 입력하면 서버가 실행된다. 그 후 local instance 3306을 눌러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세팅이 다 끝났다.

MySQL 서버를 멈추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mysql.server stop을 입력하면 된다.

MySQL 개발 환경 세팅 끝~~
